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1966년 11월 8일에 치러졌다. 공화당은 민주당으로부터 47석을 탈환했으나, 민주당은 하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공화당은 득표율에서 48.2%를 기록하며 민주당(50.9%)에 근접했다. 공화당은 알래스카, 애리조나, 아칸소,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코네티컷, 델라웨어, 플로리다, 조지아, 아이다호, 일리노이, 인디애나, 아이오와, 캔자스, 켄터키,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미시간, 미네소타, 네브래스카, 뉴저지, 뉴욕, 노스캐롤라이나, 오하이오, 오클라호마, 오리건, 펜실베이니아, 텍사스, 유타, 버지니아, 웨스트버지니아, 위스콘신, 와이오밍 등 다양한 지역구에서 승리했다. 민주당은 앨라배마, 캘리포니아, 조지아 등에서 승리했다. 선거 결과는 한미 관계에 있어 공화당의 주장이 더 강력하게 반영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미국 - 브라운 각서
브라운 각서는 1966년 이동원 외무부 장관과 브라운 주한 미국 대사 간의 협상을 통해 체결된 문서로, 한국의 베트남 전쟁 추가 파병에 대한 미국의 지원 약속과 한국 정부의 요구 사항을 담고 있다. - 1966년 미국 - 제38회 아카데미상
제38회 아카데미상은 1966년 샌타모니카에서 개최되었으며,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이 작품상 등을 포함하여 5개 부문을 수상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
---|---|
1966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
선거 개요 | |
국가 | 미국 |
선거 유형 | 의회 |
이전 선거 | 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64년 |
선거일 | 1966년 11월 8일 |
차기 선거 | 196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차기 선거 연도 | 1968년 |
선출 의석 수 | 미국 하원의 모든 435석 |
과반 의석 수 | 218석 |
주요 정당 | |
정당 1 | 민주당 |
정당 1 대표 | 존 윌리엄 매코맥 |
정당 1 대표 임기 시작 | 1962년 1월 10일 |
정당 1 이전 선거 의석 수 | 295석 |
정당 1 의석 수 | 248석 |
정당 1 의석 수 변동 | '[[파일:Decrease2.svg|}|alt=}|link=|}]] 47' |
정당 1 득표수 | 26,934,136 |
정당 1 득표율 | 50.9% |
정당 1 득표율 변동 | '[[파일:Decrease2.svg|}|alt=}|link=|}]] 6.2%' |
정당 2 | 공화당 |
정당 2 대표 | 제럴드 포드 |
정당 2 대표 임기 시작 | 1965년 1월 3일 |
정당 2 이전 선거 의석 수 | 140석 |
정당 2 의석 수 | 187석 |
정당 2 의석 수 변동 | '[[파일:Increase2.svg|}|alt=}|link=|}]] 47' |
정당 2 득표수 | 25,521,157 |
정당 2 득표율 | 48.2% |
정당 2 득표율 변동 | '[[파일:Increase2.svg|}|alt=}|link=|}]] 5.8%' |
선거 결과 지도 | |
![]() " | |
하원 의장 | |
선거 전 의장 | 존 윌리엄 매코맥 |
선거 전 의장 소속 정당 | 민주당 |
선거 후 의장 | 존 윌리엄 매코맥 |
선거 후 의장 소속 정당 | 민주당 |
2. 선거 배경
2. 1. 국내 정치 상황
2. 2. 국제 관계
3. 주요 정당 및 후보
3. 1. 민주당 (미국)
3. 2. 공화당 (미국)
4. 선거 결과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은 민주당으로부터 47석을 가져왔으나, 민주당은 여전히 하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공화당은 득표율에서도 48.2%를 기록하며 민주당(50.9%)에 근접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한미 관계에 있어 공화당의 주장이 더 강력하게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정당 | 의석 | 총 유효 투표 | ||||||
---|---|---|---|---|---|---|---|---|
1964년 | 1966년 | 변동 | 점유율 | 득표수 | % | 변동 | ||
민주당 | 295 | 248 | 57.0% | 26,934,136 | 50.9% | 6.2% | ||
공화당 | 140 | 187 | 43.0% | 25,521,157 | 48.2% | 5.8% | ||
보수당 | – | – | – | – | 208,756 | 0.4% | 0.3% | |
무소속 | – | – | – | – | 85,641 | 0.2% | ||
자유당 | – | – | – | – | 75,303 | 0.1% | 0.1% | |
평화자유당 | – | – | – | – | 16,922 | <0.1% | ||
미국 독립당 | – | – | – | – | 14,461 | <0.1% | ||
헌법당 | – | – | – | – | 11,110 | <0.1% | ||
사회노동당 | – | – | – | – | 5,771 | <0.1% | ||
무소속-사회주의자 | – | – | – | – | 3,502 | <0.1% | ||
뉴히스파노당 | – | – | – | – | 2,263 | <0.1% | ||
국민선택당 | – | – | – | – | 1,299 | <0.1% | ||
사회주의자 노동자당 | – | – | – | – | 1,014 | <0.1% | ||
재향 군인당 | – | – | – | – | 939 | <0.1% | ||
기타 | – | – | – | – | 29,701 | 0.1% | 0.1% | |
합계 | 435 | 435 | 0 | 100.0% | 52,901,975 | 100.0% | —— |
[[File:90 us house membership.png|450px|thumb|
주에서 다수당을 점하고 있는 정당별 하원 의석 | |
---|---|
]]
[[File:90 us house changes.png|450px|thumb|
]]
4. 1. 정당별 선거 결과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은 민주당으로부터 47석을 가져왔으나, 민주당은 여전히 하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공화당은 득표율에서도 48.2%를 기록하며 민주당(50.9%)에 근접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한미 관계에 있어 공화당의 주장이 더 강력하게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정당 | 의석 | 총 유효 투표 | ||||||
---|---|---|---|---|---|---|---|---|
1964년 | 1966년 | 변동 | 점유율 | 득표수 | % | 변동 | ||
민주당 | 295 | 248 | 47 | 57.0% | 26,934,136 | 50.9% | 6.2% | |
공화당 | 140 | 187 | 47 | 43.0% | 25,521,157 | 48.2% | 5.8% | |
보수당 | – | – | – | – | 208,756 | 0.4% | 0.3% | |
무소속 | – | – | – | – | 85,641 | 0.2% | ||
자유당 | – | – | – | – | 75,303 | 0.1% | 0.1% | |
평화자유당 | – | – | – | – | 16,922 | <0.1% | ||
미국 독립당 | – | – | – | – | 14,461 | <0.1% | ||
헌법당 | – | – | – | – | 11,110 | <0.1% | ||
사회노동당 | – | – | – | – | 5,771 | <0.1% | ||
무소속-사회주의자 | – | – | – | – | 3,502 | <0.1% | ||
뉴히스파노당 | – | – | – | – | 2,263 | <0.1% | ||
국민선택당 | – | – | – | – | 1,299 | <0.1% | ||
사회주의자 노동자당 | – | – | – | – | 1,014 | <0.1% | ||
재향 군인당 | – | – | – | – | 939 | <0.1% | ||
기타 | – | – | – | – | 29,701 | 0.1% | 0.1% | |
합계 | 435 | 435 | 0 | 100.0% | 52,901,975 | 100.0% | —— |
[[File:90 us house membership.png|450px|thumb|
주에서 다수당을 점하고 있는 정당별 하원 의석 | |
---|---|
]]
[[File:90 us house changes.png|450px|thumb|
]]
4. 2. 주요 선거구별 결과
:Republican Party (US)/meta/shading}}" | 공화당민주당 승리.
민주당 승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