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1966년 11월 8일에 치러졌다. 공화당은 민주당으로부터 47석을 탈환했으나, 민주당은 하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공화당은 득표율에서 48.2%를 기록하며 민주당(50.9%)에 근접했다. 공화당은 알래스카, 애리조나, 아칸소,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코네티컷, 델라웨어, 플로리다, 조지아, 아이다호, 일리노이, 인디애나, 아이오와, 캔자스, 켄터키,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미시간, 미네소타, 네브래스카, 뉴저지, 뉴욕, 노스캐롤라이나, 오하이오, 오클라호마, 오리건, 펜실베이니아, 텍사스, 유타, 버지니아, 웨스트버지니아, 위스콘신, 와이오밍 등 다양한 지역구에서 승리했다. 민주당은 앨라배마, 캘리포니아, 조지아 등에서 승리했다. 선거 결과는 한미 관계에 있어 공화당의 주장이 더 강력하게 반영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미국 - 브라운 각서
    브라운 각서는 1966년 이동원 외무부 장관과 브라운 주한 미국 대사 간의 협상을 통해 체결된 문서로, 한국의 베트남 전쟁 추가 파병에 대한 미국의 지원 약속과 한국 정부의 요구 사항을 담고 있다.
  • 1966년 미국 - 제38회 아카데미상
    제38회 아카데미상은 1966년 샌타모니카에서 개최되었으며,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이 작품상 등을 포함하여 5개 부문을 수상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966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선거 개요
국가미국
선거 유형의회
이전 선거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64년
선거일1966년 11월 8일
차기 선거196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차기 선거 연도1968년
선출 의석 수미국 하원의 모든 435석
과반 의석 수218석
주요 정당
정당 1민주당
정당 1 대표존 윌리엄 매코맥
정당 1 대표 임기 시작1962년 1월 10일
정당 1 이전 선거 의석 수295석
정당 1 의석 수248석
정당 1 의석 수 변동'[[파일:Decrease2.svg|}|alt=}|link=|}]] 47'
정당 1 득표수26,934,136
정당 1 득표율50.9%
정당 1 득표율 변동'[[파일:Decrease2.svg|}|alt=}|link=|}]] 6.2%'
정당 2공화당
정당 2 대표제럴드 포드
정당 2 대표 임기 시작1965년 1월 3일
정당 2 이전 선거 의석 수140석
정당 2 의석 수187석
정당 2 의석 수 변동'[[파일:Increase2.svg|}|alt=}|link=|}]] 47'
정당 2 득표수25,521,157
정당 2 득표율48.2%
정당 2 득표율 변동'[[파일:Increase2.svg|}|alt=}|link=|}]] 5.8%'
선거 결과 지도
1966년 미국 하원 선거 결과
"결과:

"
하원 의장
선거 전 의장존 윌리엄 매코맥
선거 전 의장 소속 정당민주당
선거 후 의장존 윌리엄 매코맥
선거 후 의장 소속 정당민주당

2. 선거 배경

2. 1. 국내 정치 상황

2. 2. 국제 관계

3. 주요 정당 및 후보

3. 1. 민주당 (미국)

3. 2. 공화당 (미국)

4. 선거 결과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은 민주당으로부터 47석을 가져왔으나, 민주당은 여전히 하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공화당은 득표율에서도 48.2%를 기록하며 민주당(50.9%)에 근접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한미 관계에 있어 공화당의 주장이 더 강력하게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정당의석총 유효 투표
1964년1966년변동점유율득표수%변동
민주당295248
감소
11px
47
57.0%26,934,13650.9% 6.2%
공화당140187
증가
11px
47
43.0%25,521,15748.2% 5.8%
보수당208,7560.4% 0.3%
무소속85,6410.2%
유지
11px
자유당75,3030.1% 0.1%
평화자유당16,922<0.1%
미국 독립당14,461<0.1%
헌법당11,110<0.1%
사회노동당5,771<0.1%
무소속-사회주의자3,502<0.1%
뉴히스파노당2,263<0.1%
국민선택당1,299<0.1%
사회주의자 노동자당1,014<0.1%
재향 군인당939<0.1%
기타29,7010.1% 0.1%
합계4354350100.0%52,901,975100.0%——



[[File:90 us house membership.png|450px|thumb|

주에서 다수당을 점하고 있는 정당별 하원 의석



]]

[[File:90 us house changes.png|450px|thumb|



]]

4. 1. 정당별 선거 결과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은 민주당으로부터 47석을 가져왔으나, 민주당은 여전히 하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공화당은 득표율에서도 48.2%를 기록하며 민주당(50.9%)에 근접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한미 관계에 있어 공화당의 주장이 더 강력하게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정당의석총 유효 투표
1964년1966년변동점유율득표수%변동
민주당295248 4757.0%26,934,13650.9% 6.2%
공화당140187 4743.0%25,521,15748.2% 5.8%
보수당208,7560.4% 0.3%
무소속85,6410.2%
자유당75,3030.1% 0.1%
평화자유당16,922<0.1%
미국 독립당14,461<0.1%
헌법당11,110<0.1%
사회노동당5,771<0.1%
무소속-사회주의자3,502<0.1%
뉴히스파노당2,263<0.1%
국민선택당1,299<0.1%
사회주의자 노동자당1,014<0.1%
재향 군인당939<0.1%
기타29,7010.1% 0.1%
합계4354350100.0%52,901,975100.0%——



[[File:90 us house membership.png|450px|thumb|

주에서 다수당을 점하고 있는 정당별 하원 의석



]]

[[File:90 us house changes.png|450px|thumb|



]]

4. 2. 주요 선거구별 결과

:Republican Party (US)/meta/shading}}" | 공화당1964현직 재선.윌리엄 L. 디킨슨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1964현직 재선.조지 W. 앤드루스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44현직 재선.글렌 앤드루스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1964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현직 낙선.
민주당 승리.아미스테드 I. 셀든 주니어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52현직 재선.존 H. 뷰캐넌 주니어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1964현직 재선.제임스 D. 마틴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1964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현직, 앨라배마 주지사 출마로 은퇴.
민주당 승리.로버트 E. 존스 주니어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47 {{Small현직 재선.{{Plainlist|



선거구현직 의원이번 선거
위치PVI의원정당처음 당선결과후보
랄프 리버스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58style="background-color:" | 현직 의원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Plainlist|



선거구현직자이번 선거
지역PVI의원정당최초 당선결과후보
존 제이콥 로즈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1952현직 재선.모 으달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61 조지 F. 세너 주니어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62style="background-color:" | 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Plainlist|



선거구현직자이번 선거
위치PVI의원정당처음 당선결과후보
에제키엘 C. 개싱스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38현직자 재선.윌버 밀스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38현직자 재선.제임스 윌리엄 트림블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44style="background-color:" | 현직자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오렌 해리스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1940현직자, 지방 판사로 사임.
민주당 유지.
{{Plainlist|



{| class="wikitable sortable"

|- valign=bottom

! colspan=2| 선거구

! colspan=3| 현직

! colspan=2| 이번 선거

|- valign=bottom

! 위치

! PVI

! 의원

! 정당

! 처음 당선

! 결과

! 후보자

|-

!

| 돈 클라우센

| 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

| 1963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비즈 존슨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58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존 E. 모스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52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로버트 레겟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62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필립 버튼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64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윌리엄 S. 마일리드

| 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

| 1952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제퍼리 코헬런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58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조지 P. 밀러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44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돈 에드워즈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62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찰스 거브서

| 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

| 1952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J. 아서 영거

| 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

| 1952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버트 탤컷

| 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

| 1962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찰스 M. 티그

| 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

| 1954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제롬 월디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66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존 J. 맥폴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56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B. F. 시스크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54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세실 R. 킹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42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할란 헤이건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52년

| style="background-color:" | 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승리.'''

| nowrap | {{Plainlist|
}}

|-

!

| 체트 홀리필드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1942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H. 앨런 스미스

| style="background-color:" | 공화당

| 1956년

| 현직 재선.

| nowrap | {{Plainlist|
}}

|-

!

| 어거스터스 호킨스

| style="color:black;background-color:" | 민주당

|

4. 2. 1. 공화당 승리 지역

알래스카주 전 지역구에서는 4선 민주당 현직 의원 랠프 리버스가 공화당 주 상원 의원 하워드 폴록에게 패배했다. 애리조나 제3선거구에서는 2선 민주당 의원 조지 F. 세너 주니어가 주 의원 샘 스테이거에게 패배했다. 아칸소 제3선거구에서는 목재 회사 임원 겸 아칸소 공화당 의장 존 폴 해머슈미트가 현직 의원 제임스 윌리엄 트리블을 꺾고 미국 재건 시대 이후 아칸소 의회 대표단에서 최초의 공화당 의원이 되었다.

캘리포니아 제18선거구에서는 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밥 매티어스가 7선 민주당 현직 의원 할란 헤이건을 꺾었다. 캘리포니아 제25선거구에서는 찰스 E. 위긴스가 현직 민주당 의원 로널드 B. 캐머런을 꺾었다. 캘리포니아 제33선거구에서는 제리 페티스가 현직 의원 케네스 W. 다이얼을 꺾었다.

콜로라도 제2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로이 H. 맥비커 의원이 공화당 도널드 G. 브로츠먼 후보에게 패배했다. 코네티컷 제6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버나드 F. 그라보스키 의원이 공화당 토마스 메스킬 후보에게 패배했다. 델라웨어 전 지역구에서는 민주당 해리스 맥도웰 의원이 공화당 윌리엄 로스 후보에게 패배했다.

플로리다 제10선거구에서는 공화당 J. 허버트 버크가 당선되었다. 조지아 제4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제임스 매케이 의원이 공화당 벤자민 B. 블랙번 후보에게 패배했다. 조지아 제5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찰스 L. 웰트너 의원이 사퇴하여 공화당 플레처 톰슨 후보가 당선되었다.

아이다호 제1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컴턴 I. 화이트 주니어 의원이 공화당 짐 매클루어 후보에게 패배했다. 일리노이 제19선거구에서는 민주당 게일 시슬러 의원이 공화당 톰 레일스백 후보에게 패배했다.

인디애나 제7선거구에서는 공화당 존 T. 마이어스가 당선되었다. 인디애나 제8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윈필드 K. 덴턴 의원이 공화당 로저 H. 자이언 후보에게 패배했다. 아이오와 제1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존 R. 슈미드호이저 의원이 공화당 프레드 슈웬겔 후보에게 패배하여 공화당이 의석을 탈환했다. 아이오와 제4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버트 밴드스트라 의원이 공화당 존 헨리 카일 후보에게 패배했다. 아이오와 제6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스탠리 L. 그레이그 의원이 공화당 와일리 메인 후보에게 패배했다. 아이오와 제7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존 R. 한센 의원이 공화당 윌리엄 J. 셜레 후보에게 패배했다.

캔자스 제3선거구에서는 공화당 로버트 엘스워스 의원이 미국 상원 의원 선거(캔자스) 출마를 위해 은퇴함에 따라 공화당 래리 윈 후보가 당선되었다. 켄터키 제3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찰스 R. 판슬리 의원이 은퇴함에 따라 공화당 윌리엄 코거 후보가 당선되었다. 켄터키 제4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프랭크 첼프 의원이 은퇴했으나, 선거 2일 전에 사망한 존 몰로니 대신 명부에 포함되어 공화당 진 스나이더 후보가 당선되었다.

메릴랜드 제8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칼턴 R. 시클스 의원이 주지사 선거 출마로 은퇴함에 따라 공화당 길버트 구드 후보가 당선되었다. 매사추세츠 제10선거구에서는 공화당 조지프 W. 마틴 주니어 의원이 재지명에 실패함에 따라 공화당 마가렛 헥클러 후보가 당선되었다.

미시간 제2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웨스턴 E. 비비안 의원이 공화당 마빈 L. 에쉬 후보에게 패배했다. 미시간 제3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폴 H. 토드 주니어 의원이 공화당 개리 E. 브라운 후보에게 패배했다. 미시간 제7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존 C. 매키 의원이 공화당 도널드 리글 후보에게 패배했다. 미시간 제11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레이먼드 F. 클레빈저 의원이 공화당 필립 루페 후보에게 패배했다. 미시간 제19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빌리 S. 파넘 의원이 공화당 잭 H. 맥도널드 후보에게 패배했다.

미네소타 제6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알렉 G. 올슨 의원이 공화당 존 M. 즈와흐 후보에게 패배했다. 네브래스카 제1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클레어 A. 캘런 의원이 공화당 로버트 V. 데니 후보에게 패배했다.

뉴저지 제1선거구에서는 공화당 존 E. 헌트 후보가 당선되었다. 뉴저지 제2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토마스 C. 맥그래스 주니어 의원이 공화당 찰스 W. 샌드먼 주니어 후보에게 패배했다. 뉴욕 제29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레오 W. 오브라이언 의원이 은퇴함에 따라 공화당 다니엘 E. 버튼 후보가 당선되었다.

노스캐롤라이나 제4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해럴드 D. 쿨리 의원이 공화당 짐 가드너 후보에게 패배했다. 노스캐롤라이나 제9선거구에서는 공화당 짐 브로힐 후보가 당선되었다.

오하이오 제1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존 J. 길리건 의원이 공화당 로버트 태프트 2세 후보에게 패배했다. 오하이오 제3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로드니 M. 러브 의원이 공화당 찰스 W. 웰런 주니어 후보에게 패배했다. 오하이오 제10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월터 H. 뫼러 의원이 공화당 클래런스 E. 밀러 후보에게 패배했다. 오하이오 제15선거구에서는 공화당 찰머스 와일리 후보가 당선되었다. 오하이오 제24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로버트 E. 스위니 의원이 은퇴함에 따라 공화당 버즈 루켄스 후보가 당선되었다.

오클라호마 제6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제드 존슨 주니어 의원이 공화당 제임스 버논 스미스 후보에게 패배했다. 오리건 제4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로버트 B. 덩컨 의원이 미국 상원 의원 출마를 위해 은퇴함에 따라 공화당 존 R. 델렌백 후보가 당선되었다.

펜실베이니아 제7선거구에서는 공화당 로렌스 G. 윌리엄스 후보가 당선되었다. 펜실베이니아 제8선거구에서는 공화당 윌라드 S. 커틴 의원이 은퇴함에 따라 공화당 에드워드 G. 비에스터 주니어 후보가 당선되었다. 펜실베이니아 제19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너새니얼 N. 크렐리 주니어 의원이 공화당 조지 A. 굿링 후보에게 패배했다.

텍사스 제7선거구에서는 사업가이자 1964년 미국 상원 후보 조지 H. W. 부시가 존 다우디가 사임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민주당 도전자 프랭크 브리스코를 꺾었다(다우디의 선거구는 텍사스 제2선거구로 변경되었다). 텍사스 제18선거구에서는 공화당 밥 프라이스(텍사스 정치인)가 은퇴하는 민주당 의원 월터 E. 로저스의 뒤를 이어 디 밀러를 꺾었다.

유타 제2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데이비드 S. 킹 의원이 공화당 셔먼 P. 로이드 후보에게 패배했다. 버지니아 제8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하워드 W. 스미스 의원이 재지명에 실패함에 따라 공화당 윌리엄 L. 스콧 후보가 당선되었다. 버지니아 제9선거구에서는 민주당 W. 패트 제닝스 의원이 공화당 윌리엄 C. 왐플러 후보에게 패배했다.

웨스트버지니아 제1선거구에서는 공화당 아치 A. 무어 주니어 후보가 당선되었다. 위스콘신 제1선거구에서는 민주당 린 E. 스탈바움 의원이 공화당 헨리 C. 셰데버그 후보에게 패배했다. 위스콘신 제6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존 아브너 레이스 의원이 공화당 윌리엄 A. 슈타이거 후보에게 패배했다. 와이오밍 전 지역구에서는 민주당 테노 론칼리오 의원이 미국 상원 의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함에 따라, 공화당 윌리엄 헨리 해리슨 3세 후보가 당선되었다.

4. 2. 2. 민주당 승리 지역

196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여러 선거구에서 승리하였다.

4. 2. 3. 보궐 선거

wikitext

5. 선거의 영향 및 분석

5. 1. 미국 정치에 미친 영향

5. 2. 한국에 미친 영향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Republican Party Politics and the American South, 1865–1968 2020-03-19
[2] 서적 The Historical Atlas of Political Parties in the United States Congress, 1789–1989 Prentice Hall College Di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